할로윈은 약 2500여년 전 아일랜드의 켈트족이 사메인이라는 죽음의 신을 섬기면서 사후 인간의 영혼은 사메인에 의하여 구원받을 수 있다는 종교적 정신에서 비롯되었다. 이 사메인에게 희생제사를 드린 날이 10월 31이었고 사람까지 제사로 바쳤다고 전해진다. 마을마다 검은 옷과 두건을 두른 채로 "처녀를 바칠것인가 아니면 죽을것인가?"라고 다그치며 바치지 않은 마을은 불사질렀다고 한다.
지그 북반부구에 있는만큼 여름의 끝인 10월31일이 새해가 시작되는 11월 1일과 상반되는 의미가 있다.
현재의 시점으로는, 매년 10월 31일, 죽은 영혼이 다시 살아나며 정령이나 마녀가 출볼한다는 것을 믿어, 그들을 놀려주기 위해 사람들이 유령 혹은 괴물 분장을 하고 축제를 즐기는 것이다.
현재는 미국에서도 야간에 아이들이 밖에 나가는 것이 위험하기도 하고 경기침체도 있기 때문에 할로윈 데이에 부정적인 시선이 퍼지고 있는 편이라고 한다. 정작 미국과 영국에서도 이런 시선이 많은 시점에, 아시아 국가들의 몇몇 젊은 층은 자국의 행사는 챙기지도 않으면서 할로윈이 특별한 날 인것처럼 즐기려고 하는 모습이 아이러니하다.
또한 할로윈은, 어린이들이 이웃 주민들에게 Trick or treat 라고 말하며 맛있는것을 주지않으면 장난칠거라는 메세지를 전하면서 사탕을 얻어가는것이 '주' 인데, 문화적으로 따라하고 싶은 영향만 강한 아시아의 젊은 사람들은 그저 자신들이 하고싶은 분장을 하고 술마시면 그게 할로윈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할로윈의 테마는 신화속 괴물 혹은 유령등을 하는 것이 맞다.
'상식 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이란? 현황 및 전망 (폭등,급등락) (0) | 2017.12.08 |
---|---|
유아인 페미대첩 사건 총 정리 (Feat. 애호박, 한서희 및 메갈) (1) | 2017.12.01 |
서해순(가수 故김광석 부인)씨 인터뷰 개요 및 정리 (0) | 2017.09.26 |
멕시코 7.1 강진 피해 상황은? (0) | 2017.09.20 |
청소년 범죄는 나이 탓? 세계 각국의 10대 범죄 (0) | 2017.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