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트 제도란?
쉽게 말해 인도에서 직업에 따라 사람들을 구별하는 제도를 말한다.
2,000여년 전 부터 시행되어 1947년 법적으로 금지되었지만, 인디안( 인도 사람 ) 의 정체성을 규정하던 가장 중요한 요소였기 때문에 여전히 인도 사회에 뿌리깊이 내려앉아 있다. 석가모니도, 간디도 카스트 제도만은 어떻게 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심지어 간디는 각기 다른 인간의 차이를 반영하는 척도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위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카스트 제도는 브라만(승려), 크샤트리아(무사, 전사), 바이샤(상인), 수드라(노예) 총 네가지 계급으로 분류되는데 그 밑에 표시되어있는 파리아(다리트) 는 '언터쳐블스' 즉 '불가촉천민' 으로 분류되어 온갖 멸시와 배척을 받게된다.
불가촉천민
불가촉천민은 악의 구현으로 표현되며 시체를 다루는 일, 가죽을 다르는 일, 화장실 관리 등 더럽고 힘든일을 도맡아 하며 다른 카스트의 인도인들과 접촉을 하는것만으로 큰죄를 받을 수 있다. 자본주의 시대인 오늘날에는 돈이 전부인 경향이 강해졌지만 또 다른 행성으로 볼 수도 있는 인도에서의 카스트 제도는 쉽게 누그러 들지 않을 것 같다.
불교의 뿌리로 보여지기도 하는 힌두교를 중심으로 한 나라와 문화이기 때문에 '윤회'와 '업'이라는 것으로 설명할 수도 있다.
전생에 나쁜 짓을 많이 했기 때문에 사회의 악으로 표현되는 '불가촉천민' 으로 태어난다거나 좋은일을 많이해서 '브라만' 으로 태어나기도 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업이 세습되는 형태가 많기 떄문에 신분 상승을 꿈꾸는게 더 어려운 사회로 보여진다.
하지만 오늘날의 인도에서는 카스트 제도로 사람을 차별하는 것이 옳지 않은 제도라는 것을 바르게 인식하여 반성하면서 오히려 낮은 신분의 사람들을 역차별하는 제도를 마련하기도 한다.
'상식 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의 미성년자 형사처벌 기준은? (부산, 강릉 청소년 폭행사건 - 소년법 폐지 청원) (0) | 2017.09.06 |
---|---|
남북한 관계 개요와 북한 전쟁 가능성 (0) | 2017.09.06 |
이슬람의 가장 큰 이벤트 라마단, 기간과 정의 (0) | 2017.09.05 |
항공권 예매 팁, 스카이스캐너 이용 법 (0) | 2017.07.26 |
센스있는 배낭여행 준비를 위한 열 가지 팁 (0) | 2017.07.25 |